67점으로 합격!
기사시험이후로 근 9-10년만에 시험을 치뤄본지라 긴장되긴하였으나 이렇게 합격을 하고나면 자신감이 많이 붙는다.
점수로만 보자면 좀더 높은 점수를 기대할수있었지않나 아쉽기도 한데
자격증이야 합격만 하면 되니 다행이었다.
공하성 설비기사 책으로 기출문제 위주로 10년치를 3번정도 돌려본듯 싶다.
거기에 최근시험도 모의고사식으로 치뤄보니 합격점수에 가까워졌던 기억이 난다.
단답은 1번 나왔던 문제도 최소 50%는 맞출수있을정도면 되고, 2번나왔던 문제는 반드시 맞춰야했다.
단골로 나오는 감지기 높이에 따른 설치가능 감지기나 피난구유도등이나 각종 등에 대한 설치기준, 소방도시기호, 시퀀스그리는 문제, 경계구역을 통한 감지기 기준, 경계구역기준설정들. 이부분은 기본으로 잘 알고있어야했다.
이번 1회차에서는 오히려 가닥수구하는 문제가 없어 다소 아쉽긴 했는데 왜냐하면 공부할떄 가닥수문제를 달달외웠던 기억이 났기때문이다. 그냥 무지성으로 외우기보다는 원리를 알고 외우는게 훨씬 좋았다.
이부분은 현재 직무와 연관이 있던 지라 조금은 쉽게 다가웠던것도 좋았다.(신호선이니 전원선은 2가닥이니 등등 사실 2wire와 4wire등의 signal과 power선의 구분을 알고있었던지라 이해가 쉬웠다.)
필기와 비교해서 실기는 전기에 대한 내용보다는 소방과 관련된 내용을 더 깊이 있게 다루긴한다.
하지만 최근, 특히 이번 1회차의 시험의 경우 15%의 합격률이 말해주듯이, 기사시험 범위인가 싶은 문제들이 함정처럼 출제되었던지라 기출을 완벽히 숙지하지 않았다면 어려움이 컷으리라 생각든다.(기술사 문제가 출제되질 않나, 너무 속보이는 출제위원들이다.)
소방실기도 준비하면 좋으련만, 회사를 다니면서 공부하기란 또 육아와 더불어 공부하기란 여간 쉬운게 아니다.
진급준비도 해야하는지, 고민되는 와중에 올해의 목표였던 자격증 취득을 성공해서 다행이었다.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소방설비기사 전기 필기 합격 (0) | 2025.04.13 |
---|---|
기어vr 다시 사용 방법 2025년 (1) | 2025.04.08 |
유투브 프리미엄 우회 결제 및 가족 구성원 초대하기 (0) | 2025.03.31 |
폭삭 속았수다 (0) | 2025.03.23 |
참돔 (0) | 2025.01.31 |